DB database의 약어

DBMS database management system의 약어

RDBMS Relational dbms

RDBMS를 조작하는 언어 SQL(Sequel)

DML data manipulation language 데이터 조작 가장 기본적인 명령

DDL data definition language 데이터 정의

DCL data control language 데이터 제어


DB의 종류

계층형 데이터베이스 폴더와 파일 등의 계층 구조(DBMS 채택 많지 않음)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계대수에 착안 행렬을 가지는 표형식 데이터

객체지향 데이터베이스 객체 그대로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로 저장

XML 데이터베이스 XQuery를 이용해 xml 검색

키 밸류 스토어(KVS) NoSQL 열 지향 데이터 베이스


RDBMS 제품

Oracle 오라클 개발 가장 많이 쓰이며 사실상 표준

DB2 IBM개발 

SQL server MS개발 윈도우 서버에서 사용

PostgreSQL 오픈소스

MySQL 오픈소스

SQLite 오픈소스 임베디드 시스템에 자주 쓰임 작은 규모

블로그 이미지

dev김

안드로이드 개발자로 만 4년이 좀 안되게 근무했었고 그 이상의 공백을 가지고 있다. 다시 현업에 복귀하기 위한 노력의 흔적을 담으려고 한다.

,

1. war파일을 생성 자바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배포

gradle build / mvn package

배포는 서버마다 다르므로 참조할 것


2. 클라우드 파운드리에 배포

jar war groovy 혹은 어떤 형태도 가능

피보탈의 paas 플랫폼 pws http://run.pivotal.io

cf명령줄 도구를 받아서 설치한다.

organization과 space를 설정한다.

$cf login -a https://api.run.pivotal.io

$cf target -o {organization_name} -s {space_name}

$cf push sbia-readinglist -p build/libs/readinglist.war -b https://github.com/cloudfoundry/java-buildpack.git


3. jar 파일을 헤로쿠에 배포(빌드도 진행)

$git init //깃허브에 프로젝트가 없다면 

$heroku apps:create sbia-readinglist

Procfile 파일에 web: java -Dserver.port=$PORT -jar build/libs/readinglist.war

스테이지 태스크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므로 추가한다.

task stage(dependsOn: ['build']){ }

system.properties 파일에 java.runtime.version=1.8 설정

$git add -a

$git commit -am "Initial Commit"

$git push heroku master

http://{app name}.herokuapp.com에서 접속 가능(apps:create의 인자)

블로그 이미지

dev김

안드로이드 개발자로 만 4년이 좀 안되게 근무했었고 그 이상의 공백을 가지고 있다. 다시 현업에 복귀하기 위한 노력의 흔적을 담으려고 한다.

,

액추에이터를 사용하여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내부 정보를 알수 있다.

책의 내용과 바뀐 부분이 있어서 해당 부분은 아래에서 확인하고 개발해야 한다.

기본적으로 /actuator/로 모든 액츄에이터가 이동하였다.

health info 등만 기본적으로 공개가 되어있고 프로퍼티를 설정해서 공개해야한다.

https://github.com/spring-projects/spring-boot/wiki/Spring-Boot-2.0-Migration-Guide#spring-boot-actuator

블로그 이미지

dev김

안드로이드 개발자로 만 4년이 좀 안되게 근무했었고 그 이상의 공백을 가지고 있다. 다시 현업에 복귀하기 위한 노력의 흔적을 담으려고 한다.

,